지식/제지산업

[목재 해부학] 목재 세포의 벽공이란 무엇인가?

유담(流談) 2020. 5. 23. 20:59
반응형

1. 목재의 세포의 역할에 대해서 

 

 

목재 세포의 역할을 이야기 해보고 싶다. 목재 세포에게 중요한 것은 물과 양분의 전달이다. 드넓은 대지의 힘을 빨아들여 양분으로 삼아고 이 것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만이 목재에게 가장 중요한 삶의 과정 인 것이다.

 

목재 세포가 하는 일은 크게 2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바로 양분의 전달과 지지, 저장이다.

인간 신체에 머리카락이나 손톱처럼 나무 역시 죽은 부분이 신체의 일부로 사용된다.  주로 죽은 세포는 나무의 무거운 몸을 지탱하고 양분을 이동시키는 관의 역할을 한다. 그리고 받은 양분을 통해서 살아있는 유세포들은 에너지를 저장하여 생존에 필요할 때 마다 꺼내서 사용하게 된다.

 

* 요약 

목재 세포의 역할 

1. 전달과 지지 : 축방향 세포, 내강이 물 또는 공기로 가득찬 사세포가 이 역할을 한다 

활엽수 : 도관요소 + 목섬유
침엽수 : 가도관 

2. 저장  : 주로 길이 짧고, 세포벽이 얇은 유세포 등이다. 변재부로 존재하는 동안 양분을 저장하고 분배하는 살아있는 세포


 

2. 수분과 양분의 이동

 

나무가 어떻게 이 지구상에 그 거대한 육신의 뿌리를 밖고 살아 숨쉬는 지를 이해하기 위해선 나무의 세포와 양분과 수분을 이동 시키는 벽공을 이해해야만 한다. 벽공이란 무엇인가?

 

벽공이란 구멍이다. 수분과 양분이 드나드는 구멍이다. 이 구멍을 통해서 나무는 그 거대한 몸을 지탱 할 수 있는 에너지를 얻게 되는 것이다. 

 

필자가 벽공에 구조를 설명해야만 읽으시는 분들이 이 놀라운 나무의 생존 메커니즘을 독자분들이 이해할 수 있으리라.

 

벽공이란 세포벽이 있는 움푹들어간 곳이며 액체가 측면으로 이동하는 통로로 모든 나무의 세포가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 구멍은 벽공강와 벽공벽으로 나뉘어진다.  

 

 

벽공강(벽공구)는 세포 내강과 벽공벽 사이의 벽공벽으로 막혀 있다. 이 구멍을 통해 영양분과 수분을 이동 시켜서 양분을 전달하게 된다. 

 

벽공벽은 벽공과 벽공 사이의 경계이다. 

 

벽공에는 단벽공과 유연 벽공이 존재하게 된다. 

 

단벽공은 유세포에서 발생하고 활엽수의 도관요소에 가끔 발생한다.

 

유연 벽공은 침엽수의 축방향 가도관과 방사가도관, 활엽수의 목섬유에서 발생하게 된다.

 

수종 식별을 하거나 셀룰로오스 기반 천연 섬유의 수종 식별을 하기 위해선 이런 벽공에 대해서 잘 알아두어야 한다. 

 

좀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벽공의 그림 좌(유연벽공) 우(단벽공)

 

왜냐하면 벽공은 침엽수는 그 수종마다 후에 나오는 교분야 벽공 내의 유연 벽공의 모양이 다른 특징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3.유연벽공이 생기는 이유는 뭘까?

 

벽공구(벽공강)의 밀도 차이가 유연벽공을 만드는 주요 원인이다. 내벽공구와 외벽공구의 밀도 차가 마치 벽공이 도넛츠 모양으로 보이게 한다. + 벽공연이 두껍다.

즉. 세포 내강에서 벽공을 바라 볼 때 각 위치에서 구멍의 크기와 밀도의 차이에 의해서 유연 벽공이 생기는 것이다.

좀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벽공의 그림 

 

4. 침엽수 마다 나무의 유연벽공이 차이가 나는 이유?

칩엽수 나무의 수종 식별 기술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유연벽공이라는 이야기는 위에서 입 아프게 나눴다. 

 

왜 이런 유연벽공의 모양의 차이가 나는 것일까?

 

바로 벽공구의 모양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외벽공구는 작고 동그랗지만 내벽공구의 경계와 크기, 모양에 따라서 유연벽공은 모양을 달리하게 된다.

 

5. 연합 벽공구

연합 벽공구가 나오면 수종의 식별이 좀 쉬워 질 수도 있다. 몇 침엽수 종에서만 나타나는 특이한 경우이기 때문이다. 

 

기억하자, 수종의 식별은 수종이 특이한 특징을 가지고 있을 수 록 쉬워진다는 것을 

 

연합 벽공구의 대표적 수종은 자작 나무가 있다.

 

일부 극단적인 경우로 좁고 긴 내벽공구가 인접한 벽공과 함쳐지는 경우다 

 

대표적인 연합 벽공구의 모양을 그려보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