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처리 전 조사 및 분석
- 육안 관찰을 통해 장황 형태, 유물 크기 등을 파악하고, 손상 상태를 기록하며, 사진 촬영을 함
- 유물에 사용한 재료에 대해 분석하고, 안료가 사용된 경우 안료 성분을 분석함
- 재질분석(염색법/현미경법), 안료 성분분석(XRF)
- 기초조사 : 유물의 재질이나 형태, 산성도 등을 파악하기 위해 유리전극이온pH측정, 색도 측정, 적외선 촬영 등을 함
- 과학적 분석 : 냉수추출법, 온수추출법, 평판유리전극 수소이온농도측정기(PH-meter) , 백색도 (iso법+헌터측정법), 흡습성측정(전처리해놓고 검사 65, 20), 두께와 밀도 측정, 내절강도 측정.
- 형광 X-선 분석법 - X선 조사하면 특정 X선, 형광 X선 분석법 파장분산형 분광기 원소의 고정도의 다원소를 동시 정량분석을 실시, X선 에너지 분산형의 분광기 신속분광법도 현재 많이 사용됌. 적외선분광분석법, 적외선촬영법
--------------------------방부 방충 훈증법----------------------
2. 안료안정화
- 약화된 안료가 박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교를 분무하거나 도포하여 안료강화 처리를 함
- 아교의 농도와 바르는 횟수는 유물의 상태에 따라 결정함
3. 세척 + 탈산
- 유물의 상태에 따라 세척 방법을 다르게 적용
- 건식 세척 : 부드러운 붓, 면봉 등을 이용하여 표면 위의 오염물질 제거
- 습식 세척 : 안료 상태를 관찰하면서 탈이온수를 화면 표면에 미세분무하여 세척함
4. 과거 배접지 제거
- 산화된 오래된 배접지는 유물의 열화를 촉진시키므로 제거함
- 배접지 제거 전, 유물 앞면을 중성지로 가배접하여 채색층을 보호한 후 오래된 배접지를 천천히 제거함
5. 보강 및 배접
- 결실된 부분은 유물의 재질과 유사한 재료를 사용하여 보강처리 함
- 천연염료로 염색한 종이를 소맥전분풀을 사용하여 배접함
6. 색맞춤 및 장황
- 보강한 부분은 안료를 사용하여 유물의 전체적인 분위기에 어울리도록 최소한의 색 맞춤을 함
- 건조가 끝난 유물 원래의 형식에 맞게 족자, 액자, 병풍 등으로 장황함
반응형
'과거기록 > 문화재수리기술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토기*옹관 보존 처리 방법 (0) | 2020.03.06 |
---|---|
수침 목재, 건조 목재 보존 방법 (0) | 2020.03.06 |
벽화 유물의 보존 방법 (0) | 2020.03.05 |
야외 금속 문화재, 상감 문화재, 칠조 동검 등등 (0) | 2020.03.05 |
은제 유물의 보존 처리 (0) | 2020.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