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지식256

1. 인쇄_서론 2025. 3. 31.
거품의 정의와 제지 공정에서의 소포 및 탈기제 필요성 거품의 정의와 제지 공정에서의 소포 및 탈기제 필요성1. 거품의 정의와 본질거품은 액체 내에 공기와 같은 기체가 분산된 상태로, 일종의 콜로이드 형태를 이룹니다. 이를 세분하면, 단일 기체 입자는 **기포(bubble)**로 정의되고, 다수의 기포가 액체막 또는 고체막에 의해 분리된 상태는 **포말(foam)**이라 불립니다. 순수한 액체에서는 거품이 쉽게 파괴되지만, 계면활성제, 미세섬유, 충전 물질 등의 특정 성분을 포함한 액체는 안정화된 거품을 형성합니다. 제지 공정에서 사용하는 지료나 백수는 이러한 안정화된 거품의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습니다.2. 제지 공정에서 거품이 발생하는 원인과 문제점펄프 제조부터 초지, 코팅, 폐수처리까지 제지 공정 전반에서 거품이 발생하며, 이는 작업성과 품질에 부정적.. 2024. 11. 25.
종이의 분류 종이와 판지의 구분1. 판지 (Thick Paper)기준: 보통 200g/m² 이상(일부는 230g/m² 이상일 때도 판지로 분류).종류:도공 백판지: 표면에 코팅 처리.예: 초코파이 상자 (인쇄 적성 우수), 약품 상자.비도공 백판지: 표면에 코팅하지 않음.골판지 원지: 택배 상자, 라면 박스 등에 사용.라이너지: 표면 종이.골심지: 중간의 골을 형성하는 종이.기타 판지: 황판지 등.2. 종이 (Thin Paper)종류:아트지: 고급지, 캘린더 용지.백상지: 고급 서적 (아트지보다 품질 낮음).중질지: 잡지, 도서 용지.크라프트지:사용 예: 쌀포대, 설탕 포장지, 밀가루 포대, 시멘트 포대, 중포대(무거운 포대).박엽지: 성경, 얇은 책 등.기타: 도화용지, 정보용지, 레자크지.종이의 특징 및 분류 기.. 2024. 11. 14.
종이 물성 측정기 종류 1-1. 기계적 성질 측정기두께 측정기종이의 두께를 측정.기공도 측정기 (Porosity)종이 내부의 공기 통로와 같은 기공 정도를 측정.평활도 측정기종이 표면의 매끄러움 정도를 측정.섬유 배향도 측정기종이 내 섬유의 배향 각도를 분석.신축도 측정기종이가 늘어나는 정도를 측정.마찰계수 측정기정마찰 및 동마찰을 측정하여 표면의 매끄러움을 평가.지합 측정기종이의 균일성(formation)을 평가.2-2. 강도적 성질 측정기인장강도 측정기종이가 찢어지는 데 필요한 힘을 측정.파열강도 측정기고무막을 부풀려 종이의 파열 저항성을 측정.인열강도 측정기종이를 잡아당겨 찢는 데 필요한 힘을 측정.Zero-span 인장강도 측정기상·하 헤드 간의 거리가 '0'인 상태에서 인장 강도를 측정.내절도 측정기종이를 반복적으로 .. 2024. 11. 13.
한국환경공단 TMS 공모전 수상기 한국환경공단 TMS 공모전 최우수상(환경부장관상)을 수상했습니다. 지금은 생산관리로 옮겨서 PP업무(Production Planning)을 맡고 있지만 생산팀에서 있을 때 수처리 부하를 막는 TF팀 간사로 활동했었거든요.그때 TMS 시스템을 처음으로 알게 되고 데이터를 사용해서 여러 인사이트를 얻게 된 것을 풀었는 데 공모전을 하신다고 하여 응모해보았고 좋게 평가해주셔서 수상까지 하게 되었네요. 제가 통계에 대해서 잘 모르지만 회사에서 배운 통계 툴 등을 활용한 사례를 발표하였더니 고평가 해주신 듯합니다. 2024. 11. 7.
귀무가설과 대립가설 기억하는 꼼수 1. 귀무가설 (Null Hypothesis, H0H_0H0​)"변화가 없다!" 라고 외우면 좋아요.보통 우리가 새로운 효과가 없거나, 차이가 없다는 가정을 의미해요. 예를 들어, 새 약이 효과가 없다는 가정이에요.즉, "내가 기대하는 결과와 다르지 않다"라고 생각하면 돼요.2. 대립가설 (Alternative Hypothesis, H1H_1H1​)**"변화가 있다!"**라고 기억하면 돼요.효과가 있다거나 차이가 있다는 주장을 뜻해요. 새 약이 효과가 있다고 주장하는 거죠."새로운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라고 이해하면 쉬워요.외우기:“귀무는 기본 가정(변화 없다), 대립은 변화 주장(변화 있다)” 2024. 11. 5.
확률분포 확률분포란?확률분포는 어떤 사건이 일어날 가능성을 숫자로 나타낸 거라고 생각하면 돼요. 예를 들어, 주사위를 던질 때 나올 수 있는 숫자는 1부터 6까지인데, 각각의 숫자가 나올 확률은 모두 같아요. 그래서 각각의 숫자가 나올 확률은 16\frac{1}{6}61​이에요. 이걸 확률분포로 나타내면, 각 숫자(1, 2, 3, 4, 5, 6)에 대해 확률이 16\frac{1}{6}61​인 걸 표나 그래프로 표현할 수 있어요.확률분포는 이렇게 모든 가능한 결과와 그에 해당하는 확률을 나타낸 표나 그래프라고 할 수 있어요. 더 쉽게 말하면, 어떤 결과가 나올 가능성이 각각 얼마나 되는지 정리한 거예요. 이산확률분포와 연속확률분포는 확률을 다루는 방식에서 차이가 있어요. 간단히 말해서, 이산확률분포는 셀 수 있는 .. 2024. 11. 5.
블로그에 좋은 글을 써봅시다. 블로그 글을 효과적으로 쓰기 위한 몇 가지 유용한 구조와 기법들이 있어요. 대표적인 STAR 기법 외에도 독자의 관심을 끌고 내용을 체계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여기 몇 가지 추천 드릴게요.1. STAR 기법 (Situation, Task, Action, Result)Situation: 주제와 관련된 배경 상황을 간단히 소개합니다.Task: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나 목표를 제시합니다.Action: 구체적으로 어떤 행동을 했는지 설명합니다.Result: 결과를 정리하고 얻은 교훈이나 인사이트를 공유합니다.2. AIDA 모델 (Attention, Interest, Desire, Action)Attention: 흥미를 끄는 도입부로 독자의 시선을 잡습니다.Interest: 흥미로운 내용이.. 2024. 11. 2.
티스토리 운영 4년만에 수익이 발생했습니다. 애드센스 수익을 받으려면 100달러를 모아야 하는 데, 저 같은 취미 삼아서 간간이 올리는 블로거에게는 애드센스 허가부터 어렵고, 100달러 모으기는 더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타인이 블로그의 글을 읽게 하려면 상대방이 보고 싶은 글을 작성하는 게 중요해서요. 저는 타고난 귀차니스트라 제 맘대로 글을 쓰기 때문에 유입이 크지 않습니다. 그래도 한 달에 1달러씩 모아지다보니 100달러가 됐네요.. 대충 계산해보니, 블로그에 글을 보는 사람 100명 당 1달러입니다. 2024. 11.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