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탄성 Performance windows by temperature
Y축, G’ X축 온도
점탄성을 어디에 이용하느냐
작은 사각형 1개 1개가 윈도우가 되는 것
Cold temp performance : 저온에서 접착제로써 성능 발현을 해야한다고 하면 이 소재는 -10도 기준 평가하고
-10도 기준, 윈도우에 지나는 그래프가 있어야 사용 가능 하다. 만약 윈도우가 아래 있다면 그래프가 내려가야하고
윈도우가 위에 있다면 그래프가 위로 올라가야한다.
어디 포지셔닝을 보고 적합성 확인이 가능하다. 알아서 내려가고 올라가는 지 확인하여야한다. 어디 포지셔닝인지 보고 적합한지 확인
Room temp performance : 일상 환경 테이프
Stroge trelescoping : 접착제 숙성, 에이징한다고 함, 보관 공정 60-80도 이 소재가 윈도우에 들어가지 않으면 물성변화가 일어남
Good shear holding : 내열성이 요구 된다.
Melt processing
점탄성 그래프는 이 것 자체로도 점탄성을 측정 지표
특정 제품 개발 시 적합한지 아닌지 확인 하는 성능 지표
점착제 분야에서 점탄성은 굉장히 중요한 기계적인 물성 지표
퍼모먼스 윈도우
y축은 G’ X축은 G’’
그 점착제의 특성 물질을 물성을 찍었을 때
이 점착제가 어느 위치에 존재하는 지에 따라서 다른 물성을 나타낸다.라는 지표, 과거부터 일반적 점착제 제작시 사용하던 일종의 테크닉으로 G’과 G”를 계산해서 윈도우를 하나 만든다. 윈도우 안에 점착제 GOOD PSA 제네럴 퍼모먼스하게 사용하기 좋은 점착제 , 그렇다면 1,2,3,4은 문제가 있냐 그런 것도 아님
이렇게 4분면을 나누면 중간 제외하고 나머지는 특수 목적을 지닌 제품이 된다.
1번 영역, G’은 높고 G”은 낮은 제품, 보호 필름, PSA라고 말하기 힘든 상황 내구성은 강한데, 잘 달라 붙기 않는 제품, 임시 가구용 소재
4번 : G’은 낮고 G” 높은 녀석, 상당히 끈적이는 물질, 일상사용시 흘러내림, 여름에 달라붙고 괴로움, 잘못된 것은 아니고 COLD temperature PSA로 사용 가능, 추운 환경에서 사용 시 일반 테이프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시베리아에 나가는 제품이나 남극 기지에서 사용한다거나 여러 극한의 환경에 우수한 성능, 각각의 점탄성을 가지고 맵핑을 해서 어느 환경에서 사용할 지 가능하는 실험, 스크리닝 기법, 원하는 목표 물성에 도달해야 할 지 알려주는 일종의 나침반
'지식 > 제지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탁과 용해 그리고 전기 음성도 (0) | 2020.04.24 |
---|---|
에폭시 (0) | 2020.04.23 |
펄프의 전세계 생산량, 구성 성분, 화학적 단리법, 셀룰로오스 섬유의 특성, 결합 차이 (0) | 2020.04.20 |
제지 기술의 발전의 역사 (0) | 2020.04.20 |
점탄성의 Modulus (0) | 2020.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