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제지산업

합판

by 유담(流談) 2020. 10. 29.
반응형

합판 

합판의 정의는 무엇인가요?

합판은 통상 목재를 얇게 절삭한 후 단판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홀수매가 되도록 적층하여 목리가 서로 직교하도록 구성하여 제조한 제품을을 말합니다. (3매 - 5매 - 7매 이런식의 구성입니다.) 

 

합판의 특징은 무엇이 있을까요?

1. 작업성이 우수합니다.

2. 절연 & 단열성이 뛰어나다.

3. 흡음성이 우수하다.

4. 미관이 우수하다. 

 

합판의 구조 

각 층 마다 부르는 이름이 다르다. 5층 합판이라고 가정하면 

 

중앙부 (core)를 심판 / 중앙부를 감싼 부분 2개층을 부심판 / 사용할 최외각면을 표판 / 사용하지 않을 최외각면을 이판

으로 구분합니다.

 

합판의 분류 방법 

내수성 : 건축 자재로 쓰이고 목재로써 수분의 내성을 중요 시 한다. 내수성을 기준으로 4개 기준 분류

 

1류 합판 (완전 내수성 합판) - 페놀, 레조시놀, 멜라민 접착제 사용 - bolling test와 함수율 test 14% 이하의 기준 통과 

2류 합판 (고도 내수성 합판) - 우레아 - 온*냉수 침지법과 함수율 시험에 합격해서 14% 이하의 기준 통과 

3류 합판 (보통 내수성 합판)  카제인, 대두 접착제 - 3류 침지 박리 시험, 상태 접착력 시험 및 함수율 시험 14% 이하 기준통과  

4류 합판 (비 내수성 합판) -  증량한 요소 수지 접착제, 대두 접착제 - 상태 접착력 시험 및 함수율 17% 이하의 기준 통과

 

분류 기준은 목재 복합 재료의 내수성은 접착제의 성능에 의한 차이를 보인다.

 

특수 구성 합판이란?

특수하게 분류되는 합판이 있습니다.

 

2매 합판과 사교 합판인 데요.

 

2매 합판 : 화장 단판을 2매 직교히여 앞면이 좋은 면이 나오게 해서 포장이나 패키징 용으로 사용하는 합판

 

사교 합판 : 단판간의 목리를 서로 직교하지 않고 임의의 각도가 되도록 구성한 합판

하중에 대한 합판 강도의 방향성을 균등화 시켜 제조한 수레바퀴용의 제품을 예로 들 수 있다.

 

심판 특수 합판의 2종류

소재 심판 합판 : 코어로 사용하고 바깥은 다른 걸 붙여서 각 각 다른 기능성 부여한 합판을 말한다. 

 

경량 함판 : 메탈 소재와 합쳐져서 경량 소재로 허니컴 등으로 경량 소재를 만든다. 중간에 비어서 

재료가 적게 들어감으로 cost가 낮게 된다. 핵심재료가 허니컴 

 

 

overlay 합판 

합판을 그대로 쓰는 경우는 거의 없으므로 가시가 있어 덮어서 사용을 하게 됩니다.

 

필름 오버레이 : (펜시 비니어) 이쁜 무늬목을 얇게 잘라서 색을 입히거나 가공하여 목재에 붙여주는 합판을 말한다. 둘 다 목재라서 재료 처리가 쉽지만 다양한 디자인을 만들 수 있다. 

 

장점 : 둘 다 나무라서 가공이 용이하다.

단점 : 무늬목은 비싸고 가공이 어려워서 고급 제품에 어울림.

 

합성 수지 오버레이 : 종이나 코팅, 비닐을 올리든 고분자 소재를 붙힙니다.

장점 : 다양한 디자인 생성 가능, 유지 보수의 용이성, 보수가 쉽다.

 

금속판 오버레이 : 무거운 나무의 단점이나 금속의 열전도율이 높아서 단열 특성이 나쁜 금속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금속판을 붙혀서 오버레이를 한다.

 

기타 특수 합판 

기계 가공 합판 : 형태가 다양한 가공, 단순 판재 사용이 아니라 곡면체를 만들 수 있는 것, 휨 가공 , 패턴 존재 , 

다양한 다층으로 붙어 있는 것을 만들 수 있음, 구멍을 뚫는 것도 기계 가공 합판의 일종

 

화학 가공 합판 : 실제 목질 재료 사용 시 많이 사용되는 방법 (기계 가공 합판보다 중요하다)

목재만으로 기계적 강도가 낮아서 합성 수지를 채워서 튼튼하게 혹은 난연 처리를 한다.

기계적 강도가 낮아서 합성 수지를 채워서 튼튼하게 혹은 난연 처리, 방부, 방충 처리 등 

기존 목재에 부여 하기 어려운 성질을 목질 재료에 부여한다.

 

합판 시장의 향후 추세 

합판 시장은 대체적으로 미국이나 독일에서 잘팔리는 복합 목질 재료이다. 목재 단판을 적층하여 

생산하는 구조이므로 단가가 비싸서 대체재에 밀려 점차 전세계적으로 점유율이 떨어지는 추세이다. 

국내에선 목재를 사용하지 않는 추세가 있으므로 앞으로의 전망이 어두운 편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