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제지산업

여수도에 대해서 알아보자

by 철학괴물 2022. 6. 28.
반응형

여수도란?

리파이너에서 얼마나 섬유가 고해되었는 지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 고해가 진행될 수 록 피브릴화가 진행되어 수산기가 섬유 표면에 많게 되면 더 많은 물을 머금을 수 있게 되어 탈수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여수도가 높다(탈수성 Good) → 리파이닝 → 여수도가 낮다. (탈수성 Bad) 

 

여수도와 여과저항의 그래프

측정방법

1. Refiner에서 갈아진 원료가 Refinder Chest에 들어가기 전 원료를 채취한다.

2. 여과지의 무게를 측정한다.

3. 원료를 정량 소분한다.

4. 여과지에 올려둔 후 진공으로 감압여과 한다.

5. 건조 후 원료의 무게 측정

6. 여과지 무게를 제외하고 기존 소분한 무게를 나눈다.

7. 표준법에 의해 원료를 얻기 위해 얼마의 원료가 필요한 지 계산한다.

8. 원료와 물을 혼합한다. 매스 실린더 1L에 맞춘다.

9. 시료 측정 전 순수물을 통해 기기가 정확한지 먼저 실험

10. 1L의 매스실린더를 투입하여 튀는 수분의 양을 측정한다. (수직으로 떨어지는 곳은 막힌다.)

11. 메스 실린더에 얼마나 물이 나왔는 지 측정하고 결과값을 온도에 따른 보정치 확인한다.

반응형

'지식 > 제지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re란?  (0) 2022.08.08
조성 공정 및 설비 특성 이해  (0) 2022.07.16
Latex  (0) 2022.06.28
고분자란?  (0) 2022.06.27
고분자란?  (0) 2022.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