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인쇄

인쇄 불량에 대해서 알아보자

by 유담(流談) 2023. 4. 13.
반응형

미스팅(Misting)

잉크가 롤러 사이로 전이 될 때 잉크의 입자가 안개처럼 공기 중으로 비산되어 인쇄기계와 작업 환경을 오염시키는 현상

대기온도가 저하되어 건조해 있으면 미스팅이 촉진된다. 습도가 증가하면 미스팅은 감소하며, 롤러의 표면 요철이 심하면 미스팅이 빈번해진다. 인쇄 잉크의 전기 이중층 파괴로 발생하며, 특히 고속 신문 윤전 인쇄 시 많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뒤묻음(Set Off)

인쇄된 용지를 중첩하여 쌓으면 완전히 건조되지 않은 잉크가 다른 용지의 뒷면에 묻는 현상을 말한다. 인쇄 잉크가 다공성의 피인쇄체로 전이될 경우, 인쇄압력에 의한 투묘효과(acheor Effects)로 발생하는 인쇄사고

 

블로킹(Blocking)

종이끼리 붙는 현상,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많이 읽어난다. 

 

고스트(Ghost)

잉크의 흐름 방향을 평행하게 늘어서 있는 모양이 다른 모양의 농도에 영향을 주고, 있지도 않은 농도 발생

축임물을 사용하지 않은 평판에서 고스트가 발생하며, 잉크 묻임 롤러의 진동이 늘면 줄어든다. 롤러의 닙폭이 불량인 경우 발생이 쉽다. 

 

모틀링(Mottling)

인압불량, 나사 자국, 파일링에 기인해서 인쇄면에 잉크 농도가 균일하지 못하고 작은 반점의 농도 얼룩이 많이 나타나는 현상으로 배껍질과 유사하게 되는 현상, 종이의 지합이 불균이하고, 도공층에 바인더 마이그레이션 현상이 발생하거나, 인압이 불충분할 때 발생한다. 

 

파일링(Filieng)

인쇄 중 잉크나 지분이 블랭킷, 롤러 또는 판 위에 퇴적해서 발생된 전이 불량

 

히키(Hicky)

인쇄면에 도넛 모양의 작은 흰테 얼룩으로 인쇄판에 이물질이 붙어서 일어나는 현상

롤러의 접촉폭을 조정한 후 롤러 표면의 지분을 제거하고, 건조 피막이나 찌꺼기가 잉크집에 들어가지 않도록 관리한다. 

 

스커밍(Scumming)

판의 비화선부가 감지화되어 일정한 위치에서 광범위하게 더러움이 발생하는 현상

 

바탕더러움

인쇄 중 종이의 전료와 칠막의 탈막, 종이 표면에 감지성 물질이 있는 경우, pH가 8.5 이상인 경우, 계면활성제의 영향으로 발생한다. 

 

샤프닝(Sharpening)

하프톤 값의 증감과 변형에서 필름에서의 도트크기보다 하프톤 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현상

 

스티킹

뒷묻음이 심해서 인쇄물에 뒷면에 달라붙는 현상

 

프로큐레이션

잉크의 성분인 비이클과 안료 사이에 물이 들어가서 유화현상이 발생하여 인쇄물의 광택도가 저하되는 현상

 

크리스탈리제이션

다색 인쇄 시 1차 인쇄한 잉크 위에 다음 잉크가 올라가지 않는 현상

 

변색 및 퇴색

빛과 열, 화학물질에 의해서 색깔이 변하거나 사라지는 현상

 

Hardening(하드닝)

인쇄물이 화학적 또는 물리적으로 완전 건조되어 잉크가 고체화 되고 피인쇄체에 접착된 상태로 되는 현상

 

 

 

반응형

'지식 > 인쇄'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인쇄  (0) 2025.03.31
인쇄기사 관련 자료 정리  (0) 2023.05.28
[자격증] 인쇄기사 합격수기  (11) 2023.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