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

블로그에 좋은 글을 써봅시다.

by 철학괴물 2024. 11. 2.
반응형

블로그 글을 효과적으로 쓰기 위한 몇 가지 유용한 구조와 기법들이 있어요. 대표적인 STAR 기법 외에도 독자의 관심을 끌고 내용을 체계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여기 몇 가지 추천 드릴게요.

1. STAR 기법 (Situation, Task, Action, Result)

  • Situation: 주제와 관련된 배경 상황을 간단히 소개합니다.
  • Task: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나 목표를 제시합니다.
  • Action: 구체적으로 어떤 행동을 했는지 설명합니다.
  • Result: 결과를 정리하고 얻은 교훈이나 인사이트를 공유합니다.

2. AIDA 모델 (Attention, Interest, Desire, Action)

  • Attention: 흥미를 끄는 도입부로 독자의 시선을 잡습니다.
  • Interest: 흥미로운 내용이나 정보로 글에 관심을 이어갑니다.
  • Desire: 독자가 글을 더 읽고 싶게 만듭니다.
  • Action: 구체적인 행동(댓글 남기기, 공유하기 등)을 유도합니다.

3. PAS 기법 (Problem, Agitation, Solution)

  • Problem: 글의 문제점이나 독자의 고민을 제시합니다.
  • Agitation: 문제의 심각성을 부각시켜 독자가 해결책에 관심을 가지게 합니다.
  • Solution: 제시한 해결책으로 독자가 행동하게 만듭니다.

4. FAB 기법 (Features, Advantages, Benefits)

  • Features: 제품이나 서비스의 주요 기능을 설명합니다.
  • Advantages: 기능이 주는 장점을 강조합니다.
  • Benefits: 독자에게 직접적인 혜택을 전달합니다.

5. Oreo 기법 (Opinion, Reason, Example, Opinion)

하바드 글쓰기 방법론입니다. 

  • Opinion : 가장 먼저 내가 말하고 싶은 내용에 대한 나의 의견이나 주장을 명확하게 밝히고, 이를 토대로 글을 작성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정확하고 간결한 주장을 만드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이 글 전체의 방향성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관심을 끌게 됩니다.
  • Reason : 두번째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이유나 근거를 제시합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이 당신의 주장에 대한 논리적인 근거를 이해하고, 더 나은 이해를 하는 마음의 준비와 공감을 하게 됩니다.
  • Example : 주장과 이유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 위해, 구체적인 예시나 사례를 제시합니다. 통계표나 수치, 혹은 일상이나 고전 도서 등에서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합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글의 내용을 더욱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 Opinion : 마지막으로, 주장을 다시 한 번 되뇌어 논리적으로 강조하고, 글 전체를 요약합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글 전체의 핵심 내용을 잘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논리적인 결론을 도출할 수 있게 됩니다.

 

 

 

반응형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 운영 4년만에 수익이 발생했습니다.  (0) 2024.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