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제지산업

[목재 해부학] 나무의 해부학적 요소

by 유담(流談) 2020. 5. 23.
반응형

1.  벽공대 

인접한 두 개의 세포끼리 대응하여 대를 이루면 대를 형성하게 된다. 

 

단벽공대, 유연벽공대, 반연벽공대로 구분할 수 있다.

 

단벽공대 : 단벽공이 마주함 

단벽공이 주로 유세포에 있고 아주 가끔씩 활엽수의 도관요소에 있기 때문에 침, 활엽수의 유세포와 유세포의 사이에 있거나, 활엽수 유세포와 도관요소가 단벽공대를 이루는 경우가 있다.

 

유연벽공대 : 유연벽공이 마주함, 침엽수는 주로 가도관과 가도관이 만나는 부분, 활엽수는 도관요소에서 나타남

 

반연벽공대 : 유연벽공과 단벽공이 마주침 

 

침엽수는 가도관과 유세포의 사이에서 , 활엽수는 도관요소와 유세포 사이에서 발생한다. 

 

2.  벽공, 벽공대는 세포 간층으로 구성

토러스 (torus) 

벽공대 중간에 위치한 두터운 층, 크기는 벽공구보다 크다.

단벽공 및 반연 벽공 : 토러스가 존재하지 않음
활엽수 유연 벽공 : 토러스가 존재하지 않음

마르고(Margo) 

토러스 주변에 존재하는 다공층, 물이 이동하는 곳이다.

 

벽공 폐쇄

-토러스가 한 쪽 벽공구를 막는 현상, 물 이동 불가, 변재가 심재로 되는 과정 또는 건조하는 과정에서 발생 

- 활엽수에 존재하는 유연 벽공에는 토러스가 존재하지 않음

- 단벽공 및 반연벽공에도 토러스가 존재하지 않음.

 

펄프 목섬유에 존재하는 벽공

- 벽공대가 분리되어 있다.

 

단벽공대의 형태 

circular(원형)

oval(달걀)

angular(모난형태) 

elongated(길쭉한) : 벽공이 늘어짐

 

총 4가지 형태가 존재하고 있다.

 

펄프 목섬유에 존재하는 벽공

벽공대가 분리되어 있음. 

 

유연벽공 

 

형태 : 두개의 원형이 존재

 

원형 1 : 벽공구의 경계

원형 2  : 벽공실 경계

 

3.  교분야벽공

교분야 벽공을 말하는 것은 2개가 있다. 벽공구 경계, 벽공실의 차이에서 만들어짐

다양하게 확인이 가능하다. 

 

1번 : 축방향 가도관 + 축방향 가도관

2번 : 축방향 가도관 + 방사 유세포(우리가 중요 시 하여야 하는 교분야벽공)

 

 

 

4.  세포의 형태 

나무의 세포는 간단하고 규칙적이다.

 

주요 세포는 주로 축방향 가도관과 방사 유세포이다. 여기서도 축방향 가도관이 모든 세포의 비율 중 90-95% 등

 

축방향 가도관 (지지 및 전달)

축방향/ 방사 유세포 (저장)

에피델리얼 유세포(수지 분포)

Short tracheilds (방사 가도관(전달))

스트랜드 가도관(전달)

 

축방향 가도관 또는 섬유 

직경은 좁고, 세포의 상, 하가 막혀 있음

길이 : 평균적으로 2-6 mm, 펄프로 사용할 꺼면 섬유장이 길어야만 한다. 

taxodium, Sequeia, Araucaria의 가도관 길이는 6mm이상 

 

가도관의 길이와 폭은 동일 수종 간 뿐 만 아니라 개체내에서도 차이가 존재 

 

 

 

5. 축방향 가도관

주요 기능은 지지와 전달의 기능을 한다. 

 

조재와 만재의 차이가 뚜렷한 차이가 있다. 

조재는 박벽이며, 거의 사각형 모양, 내강(lumen)이 크다, 세포 끝이 쐐기 모양, 뭉특함

 

만재는 후벽이면서, 직사각형 모양, 내강이 좁다. 뾰족하다

 

 

 

 

6. 나선 비후와 트라베큘레

나선비후는 개솔송과 주목에 존재하며 종이 제작을 위한 펄프를 섬유에서 관찰 가능

 

트라베큘레 : 펄프용 섬유에서 관찰 가능, 침엽수의 가도관 이외의 활엽수에서도 관찰이 가능, 독립 세포 내강 뿐 만 아니라 

 

도관 요소, 유세포, 목섬유를 가로 지르는 경우도 있음

 

세포벽의 일부에 있어서 세포 1개의 접선벽에서 세포 내강을 가로 질러 다른 접선벽과 연결 되어 있는 봉상 물질

 

침엽수재의 가도관에 종종 확인되어지고, 몇 개의 세포가 연속해서 발생 

 

생성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형성층에서 균사의 침입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