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대학생활

[대외 활동] 충북대학교 박물관 서포터즈 뮤즈 면접 탈락.

유담(流談) 2020. 9. 1. 12:36
반응형

 

충북대학교 박물관 서포터즈 뮤즈의 자소서를 내고 합격했다.

 

그래서 왕복 6시간을 걸려서 대학교에 면접을 보러 갔다. 문과생들이 드글 드글했다. 

 

항상 느끼는 거지만 서포터즈 등은 거의 인생에 큰 의미 없지만

 

모르는 사람들과 단체 활동하면서 친목질 겸 봉사 활동하는 건데 

 

취업난 때문인 지, 자소서에 뭐라도 적어야 하는 사람이 많아서

 

다들 하고 싶어서 혈안이다. 특히 문과 애들, 얘네들도 알거다 이런 게 별 의미 없다는 것을 그런데

 

이런 거라도 안하면 어쩌겠는 가?  하지만 딱히 동정은 안한다. 본인이 선택한 인생이니까. 지들이 알아서 잘 살겠지 뭐.

 

 

 

지원자 인생에 큰 도움도 안되는 대외 활동을 수 십명이 지원하것도 그리고

 

지원 받는 입장에선 학력 인플레로 대학생이 그리 고급 인력이 아니게 됬다지만

 

공짜 노예마냥 부리려고 하는 게 좀 아니꼬왔다.

 

면접가는 아침날 밥 먹다 이 이야기를 했더니 아버지도 아침먹는 밥상

 

돈 안주고 부려먹는 게 어딨냐고 극딜하셨다. 하지만 어쩌겠는 가.

 

갑(금수저) > 슈퍼 을(정규직 및 좋은 직장을 가진 사람) > 을 (대학생 및 사회의 찌그레기) 의 관계에서 

 

난 을 중의 을인 것을 다 내 능력 부족이다. 

 

 

 

아무리 그래도 왕복 6시간을 투자해서 갔다더니 서류에서 1차도

 

안거르고 4명이 뽑으려고 수십명을 불렀다는 사실에 약간 열받았지만

 

그냥 화내면 나만 손해지 하고 면접 봤다.

 

면접관 2분이랑 지난 번 뮤즈 서포터즈 2분이랑 총 4인과 1대 1일 면접을 진행했는 데

 

면접 분위기는 좋았지만 카드 뉴스 만들고 기사 쓰고 하는 일을 하는 데 

 

단체 활동도 아니고, 단독으로 각자 카드 뉴스 만들고 기사 써서 활동 한단다.

 

난 그냥 비슷한 관심사인 애들이랑 친목하려고 간 건데, 주위에 문화재 하는 사람도 없고 

 

박물관에서 뭐라도 하면 콩고물이라도 떨어지지 않을 까? 싶어서...

 

그럼 굳이 대학생 쓸 필요 없는 데 왜 카드 뉴스랑 기사를 대학생 애들로 뽑는 지는 이해가 안됬다.

 

걍 프로한테 맡기면 더 좋은 결과물을 더 빨리 만들 수 있는 데??? 걍 무료로 부려먹으려고 하는 건가?

 

세상에 공짜는 없는 법인 데, 뭘 믿고 단독 프로젝트를  대학생에게 맡길까? 단체 활동이면 서로 피드백 주면서 수정이라도 열심히 할텐 데

 

 

 

어쨌든 결론은 내가 추구하는 방향이랑 그 쪽 방향이랑 맞지 않는 다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그 쪽도 마찬가지 였을 것이다. 

 

결과는 탈락, 그래도 별로 아쉽지는 않았다. 돈이랑 시간이 아까웠지.

 

 

왕복 차비만 3만원 + 코로나 걸릴 위험 + 식사 비용 +  개인 공부 시간 + 개인 휴식 시간 

 

등등 전부 따지면 막심한 손해였는 데, 그냥 유료 면접 테스트 였다고 생각하려고 한다.

 

안그러면 내 정신만 손해지 뭐. 알라리 알라셩

 

 

 

 

 

응~ 너 탈락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