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오염
펄프, 제지 공장 폐수의 특징
1. 제지업계 폐수는 기계적 처리, 화학적 처리 시 목재 섬유질과 다양한 화학원료가 배출
2. 다량의 물 사용
3. BOD는 낮음, COD는 높음
4. 콜로이드 물질(거품같은 것) 부유물질 침적으로 부패
5. 용존산소를 소비 = 당분, 리그닌 분해 생성물 BOD를 높임
6. 원료고지의 증해액, 사이징제, 자력증강제 COD를 영향
펄프, 제지산업, 폐수 오염원 8가지
(조목 박피의 물), (증해부, 농축기 응축기), (정선과 제진 백수)
(스크린, 세척공정 세척수), (표백 세척기의 여과수), (초지기의 백수), (섬유 전공정 누수), (탈묵공정)
공정 내부처리
1. 폐수의 재이용이 가장 중요
(사석제거, 스크린, 정화과정이 필요)
침엽수목의 껍데기 제거 효율을 높이기 위한 샤워수로는 증발기나 표백공정 초지기의 고온공정유출수 사용
2. 응축수
3. 농축수 여과수
4. 표백공정 유출수
표백탑 나오는 스톡은 희석, 세척기 여과수로 이용, 씰 박스 세척과정 나오는 잉여 세척기 여과수 이용
최종적 표백 펄프 희석 초지기 백수, 샤워수로 열교환기 응축수 고온수 이용수질오염
펄프, 제지 공장 폐수의 특징
1. 제지업계 폐수는 기계적 처리, 화학적 처리 시 목재 섬유질과 다양한 화학원료가 배출
2. 다량의 물 사용
3. BOD는 낮음, COD는 높음
4. 콜로이드 물질(거품같은 것) 부유물질 침적으로 부패
5. 용존산소를 소비 = 당분, 리그닌 분해 생성물 BOD를 높임
6. 원료고지의 증해액, 사이징제, 자력증강제 COD를 영향
펄프, 제지산업, 폐수 오염원 8가지
(조목 박피의 물), (증해부, 농축기 응축기), (정선과 제진 백수)
(스크린, 세척공정 세척수), (표백 세척기의 여과수), (초지기의 백수), (섬유 전공정 누수), (탈묵공정)
공정 내부처리
1. 폐수의 재이용이 가장 중요
1. 목재 가공 시 사용된 물
(사석제거, 스크린, 정화과정이 필요)
침엽수목의 껍데기 제거 효율을 높이기 위한 샤워수로는 증발기나 표백공정 초지기의 고온공정유출수 사용
2. 응축수
열전달장치 오염 안 된 응축수 스팀 생산 이용 - 보일러 시설 - 오염 응축수 다단효과 증발기 - 송진 응축기 - 기압 응축기 등에서 발생함, 고온의 증발기응축수는 브라운스톡 세척기 세척수 재이용, 송진응축기 유출수는 배수 처리
3. 농축수 여과수
농축기 여과수는 매우 낮은 농도로 통과되는 스크린과 정화공정의 이용 (희석수)
4. 표백공정 유출수
표백탑 나오는 스톡은 희석, 세척기 여과수로 이용, 씰 박스 세척과정 나오는 잉여 세척기 여과수 이용
최종적 표백 펄프 희석 초지기 백수, 샤워수로 열교환기 응축수 고온수 이용
공정외부처리 : (전처리 - 1차 처리 - 2차 처리 - 3차 처리)
전처리
스크린 : 나무, 큰 부유물 제거
침사지 : 자갈, 모래 사석 잔해 제거
산성 아황산 펄프공정의 폐수 : 알칼리성
크라프트 펄프공정의 폐수 : 산성
유기물질과 약품등 무기 물질 : 응집, 침전 제거
1차 처리
1. 침전법 : 물 아래로 가라앉힘, 중력으로 침전 제거 정화
2. 부상법 : 물 위로 띄우는 방법, 공기부상, 진공부상, 용존공기부상
2차 처리
순산소법 : 90% 이상의 순산소로 산소의 용해도를 높임, 활성슬러지의 반응촉진, 폐슬러지량 감소
활성슬러지법 : 1차 처리된 폐수에 2차 시 사용, 폭기조에서 미생물 분해, 종말침전지 응결 침전, 침전지에 고형물 제거
초심증복기법 : 활성슬러지법과 달리 폭기조 설치, 용존산소 풍부하게 해서 미생물이 폐수 함유된 유기물질 처리
살수여상법 : 1차 침전 유출수를 미생물 점막 덮인 쇄석 이용, 미생물막과 폐수 중의 유기물을 접속처리, 70% BOD제거
생물학적 처리 공정
회전원판법 : 생물막을 이용하여 폐수를 처리하는 방법, 폴리스티렌, PVC, 원판의 일부, 폐수에서 회전시켜 원판 위에 호기성 미생물 수중의 유기물 처리
3차 처리
1. 폐수정화처리 : 오염물질 제거 어느 정도 고형물과 BOD가 잔류
화학적 응집 및 침전, 2시간 침전, 상등수는 여과 시설
2. 폐수 부유 고형물을 활성탄, 다공성 여과재로 여과해서 독성 유기물질, 발색물질 흡착
3. 2차 처리수 제거 된다. 남은 미량의 난분해성 물질
'지식 > 제지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지산업과 대기오염 (0) | 2021.04.02 |
---|---|
슬러지 및 탈수 부산물 처리 (0) | 2021.04.01 |
흰개미 방제 방법 (21) | 2021.03.24 |
기상열화 (0) | 2021.03.18 |
2. 목재 열화 방지 (0) | 2021.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