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rea (장기목표)/제지산업

흰개미 방제 방법

by 철학괴물 2021. 3. 24.
728x90
반응형

 

 

 

 

오늘은 국내 서식 지중 흰개미 및 일본 흰개미에 대한 방제 방법 및 생태적 특징에 대해 적어보겠습니다. 

 

 

 

1. 흰개미의 생태적 특징

 

 

 

1. 국내 서식 흰개미는 공식적으로 2종이 분포한다.

 

전국적으로 일본에서 넘어온 일본 흰개미 아종이 서식하고 있습니다(스페라투스)

군산, 서천, 익산등의 지역에서는 지중 개미 (칸모늄 개미)등이 분포합니다.

두 종 모두 일본에서 국내로 유입된 가능성 매우 높습니다.

 

 

 

2. 흰개미와 번식 

매년 봄 3월 - 4월말

여왕흰개미와 왕개미가 번식을 위하여 영역을 넓히기 위해서 군비를 하려 서식지인 목재 내부에서 뿜어져 나옵니다.

가장 군체가 약한 시기로 병정 개미의 호위를 받으며, 여왕과 왕은 바람을 타고 날아갑니다.

 

이렇게 이동한 흰개미들은 숲 속의 목조 건축물에서도 나타나게 됩니다.

군비하는 왕개미와 여왕개미가 한 쌍이 내릴 수도 있는 데, 수컷이 없으면 암컷끼리 교배해서 천연 생식도 가능할 정도로 극악의 생식 능력을 자랑합니다.

 

군비 시 암컷의 비율이 수컷보다 많다는 것도 흰개미의 번식에서 눈여겨 볼 점입니다.

암컷들은 근처에 숫컷이 없으면 암컷끼리의 생식이 가능하며 또한 놀랍게도 수컷 만으로도 번식도 가능합니다.

그러나 이는 효율이 떨어지고 성공률도 매우 떨어집니다. 그나마 암컷이 조금 나은 정도입니다.

 

군비 이후 시간이 지나도 왕과 여왕이 만나지 못하게 되면, 체내의 질소가 고갈되게 되고, 곤충 번식 시 제일 중요한 질소가 떨어지게 되기 전에 차선 책으로 홀로 생식을 택하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3. 흰개미와 알의 생산

흰개미가 군비를 마치고 교배한 이후인 4월에서 5월 말까지는 흰개미 군체는 알의 생산이 가능해집니다.

기존에 군비를 위해 영양분을 왕과 여왕에게 몰아주다, 교배 후 여왕개미가 알을 낳을 수 있게 되면 알의 생산을 위해 흰개미 군체는 모든 총력을 다 쏟습니다.

 

이 모든 과정은 두 달 전부터 계획하에 시행되며, 여왕 개미이 낳은 알을 주시하며 관리에 들어갑니다.

여왕개미의 알들을 먹으려고 하는 천적으로부터의 보호에 들어갑니다. 

 

흰개미들은 알을 위한 최선의 알의 각도와 크기와 균핵체를 이미 알고 있습니다.

그리하여 균들 중 악영향을 주는 균이 발아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유익균과 함께 놓으려는 노력을 하게 됩니다.

이를 통해 흰개미 군체는 알을 위하여 균을 이용한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2. 흰개미와 페로몬

 

페로몬은 현재 흰개미 연구에서 핫한 분야입니다.

일본 교토대학에서는 흰개미의 계급별 페로몬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습니다.

휘발성 페로몬에 대한 일개미의 페로몬 데이터의 구축은 이미 끝났습니다.

일개미 개체가 계속 모여서 군체를 만드는데, 2007년부터 10종이 넘게 DB화가 완료 되었습니다.

 

 

1. 계급별 흰개미의 차이 

흰개미들은 다른 계급별로 유전형질을 가집니다.

왕과 여왕 역시 유전형질이 다른데, 여왕개미는 알을 생산해서 수명이 짧습니다

 

알에서 라바(애벌레)가 된 후 한번 더 탈피하면 L1에서 L2로 넘어가면서 흰개미는 생식 계급으로 갈 것인지, 노동 계급으로 선택을 하게 됩니다.

 

생식계급으로 가면 생식충이 되서 여왕개미나 군비를 위한 개체가 됩니다.

나머지는 일개미, 병정개미로 분화하여 군체를 지키거나 알을 관리하고 먹이를 생산하는 일을 하게 됩니다.

 

모든 생산 계급이 멸절하게 되면, 일개미가 L3으로 변화하며, 군체가 끊기지 않도록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3. 국내 흰개미 방제 방법과 피해

 

흰개미 군체에 의한 목재의 피해 양상은 다양한 피해 해충와 차이가 있습니다. 나무좀, 권연벌레, 구멍벌 같은 경우

목재를 가해하여 가루가 날리며 주저 앉게 하는 등의 해체보수 정도로 끝나게 하지만

 

흰개미는 목재 내부부터 먹어서 목재 외부로 나오면서, 피해를 확인 시 

흰개미가 내부는 다 먹어서 이미 손상이 많이 간 상태로 만든 이후일 것입니다.

 

흰개미 군체가 건축물 내부를 다 먹게 되면 내부가 완전히 텅텅비어 해체 보수가 필수적이게 되고,

일부는 회생이 불가능한 상태로 만들기도 합니다.

 

전국의 목조 문화재를 조사한 연구결과

2008개의 목조 문화재의 정기 모니터링 시 약 20%인 480-500개가 흰개미에 의한 손상을 입었고

그중 30%는 지금도 흰개미의 가해에 의한 손상을 입고 있습니다.

 

흰개미의 방제는 매우 어렵습니다.

기존의 방충 방법은 큰 효력이 없다는 결과가 나왔기 때문입니다.

 

 

 

 

1. 국내 흰개미 방제 방법 4가지

 

1. 훈증소독법 : 전체를 약간 비닐로 밀봉하고 거기에 독약인 메틸 브로마이드 등을 넣어 방제하는 방법

목재 건축물이 크면 밀폐가 어렵습니다. 휘발 시 효과가 없어집니다.

비용 대비 효율이 많이 떨어져서 많이 안합니다. 

(여담으로 메틸 브로마이드는 이제 환경을 위해 금지된 약물입니다.)

 

2. 표면 도포법 : 흰개미는 목재 내부부터 갉아먹어서 표면 도포 시 큰 효과가 없습니다.

그러나 매년 10억 예산이 목조 문화재를 위해 사용되고 있습니다.

 

3. 토양처리법 : 중간에 지중에 구멍을 뚫고 기피제를 넣어서 막는 방법입니다.

약제가 땅이 하천 유입되거나 용탈되어 인체에 대한 피해를 줄 수 있어 많이 하지 않고 있습니다.

일시적으로 제거는 되지만, 비가 내리는 등 약품이 희석되고 약효가 떨어지면 다시 다른 흰개미 집단이 유입되어, 일정 주기마다 약액을 주입해야 하는 단점도 존재합니다.

 

4. 군체제거법

(흰개미 영역의 둘레에 독약 디바이스를 설치하여, 독약을 먹으면 군체 전체를 전멸 시키는 방법) 

디바이스 내부에 약품을 주입한 셀룰로오즈를 넣고 먹으면 박멸되는 처리법입니다.

 

 

 

1번, 2번, 3번은 더 이상 연구가 진행 되지 않습니다. 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그 효율이 떨어집니다.

 

 

추가적으로 전세계적인 군체 제거방법 중에는 Bait(미끼) 방법이 있습니다.

털마이트 볼(termit ball)이라는 알모양 약품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털마이트 유사 방제 제거는 각도, 냄새 등을 흰개미 알과 유사하게 제형하여 젤라틴 코팅하고

일 흰개미가 알더미로 알모양 방제 제형을 가져가면 수분이 독약이 녹아서 군체를 전멸 시킵니다.

그러나 흰개미들이 가짜임을 인식을 하면 더 이상 가짜알을 안 가져가게 되어 효과가 떨어지게 됩니다. 

 

5. 현재 연구 진행 상황 

 

[국내연구현황] 

개체 염색 연구를 진행 중입니다. 논문이 투고 발표된 상태로 2020년도에 지중 흰개미는 2건이 연구가 있었습니다.

플라스틱 통에 채취해서, 고순도 셀룰로오스 한 종이를 염색하여 흰개미(토양,목재, 등등을 먹는 종)에게 먹여

흰개미의 염색을 통한 연구에 적용 합니다.

 

목재 채집한 것에서 물을 빼서 균을 없애고 목분배지로 길러서 염색 개체를 만들고, 염색 연구 시 적정 염색약을 보면  서로 다른 군체를 확인가능합니다.

이를 통해 흰개미들은 군체끼리는 침범하지 않는 걸 확인이 되었습니다.

 

[문화재 보호]

목조 건축물 문화재 돌봄 사업을 통해 현재 총 5개의 목조 건축물에 모니터링 디바이스를 심어 확인 중에 있습니다.

 

 

6. 흰개미가 좋아하는 목재 

과거부터 국내 흰개미가 어떤 목재를 좋아하는 지는 불명인 상태입니다. 

그러나 경험적으로 소나무를 선호함은 알고 있는 상태입니다.

 

실제로 어떤 목재를 좋아하고, 자연에서 가해하는 지 연구를 실시 해본 결과

충북대학교 교내 산림에서 흰개미 체집하여 DNA분석 결과 일본 흰개미 아종임을 확인했고

 

교내의 흰개미들을 수종별 시료의 확인을 통해서 흰개미의 기호를 확인했습니다.

수종별로 낙엽송을 가장 좋아하며, 밤나무를 제일 싫어하고 있습니다.

역시 침엽수인 소나무 등도 좋아합니다.

 

7. 향후 흰개미 방제 계획

국내에서는 흰개미 방제 플랫폼을 구축 예정입니다.

흰개미를 모니터링을 하며, 장고, 파이썬으로 만든 플랫폼을 통한 위치 정보 기입과 지정별로 기입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을 통하면, 일반인들 역시 쉽게 확인 가능할 것입니다.  마커를 확인하면 문화재 포털로도 구현가능합니다. 

 

모니터링 연구라면 흰개미들을 어떻게 죽일 것인지, 더 이상 오지 못하게 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것 입니다.

 

군체 제거 연구 시 하나의 약제를 군체를 넣어보니 약제 처리 전체 구역에 흰개미가 있는 것인데도

죽는 부분은 일부 국한됨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AI를 통해 사람이 파서 약물을 주입한 곳을 볼 수 있었고

주입한 곳은 군체가 사멸했지만

 

결과적으로 군체 중 1개- 2개 만 파괴되는 것이 문제점입니다.

 

흰개미의 탈피를 억제시키는 약물을 주입 시  한 달 안에 발현하며, 군체에 다 퍼저서 다 죽었다는 연구결과도 있어

흰개미를 1년 모니터링하고 방제를 하여 흰개미가 더이상 나오지 않고 한 달마다 나오는 개체수를 확인할 예정에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Area (장기목표) > 제지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슬러지 및 탈수 부산물 처리  (0) 2021.04.01
제지업계의 수질오염  (0) 2021.04.01
기상열화  (0) 2021.03.18
2. 목재 열화 방지  (0) 2021.03.18
1. 목재의 열화  (0) 2021.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