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조법 :
사형 : 모래 틀을 사용해서 다양한 크기와 철, 경합금, 구리 합금등의 대부분의 주조가 가능한 특징을 가짐
석형 : 돌 틀을 사용한 주조법, 돌에 문양을 새겨서 이에 금속을 넣고 굳힘
밀랍 : 밀랍을 사용한 주조법, 벌집 찌거기를 가열하여 만들어지는 밀랍을 이용해서 글자본을 붙여 글자를 새긴 뒤
흙으로 감싸 주형을 만들고 흙으로 감싸서 밀랍을 녹여낸 공간에 쇳물을 부어 활자를 새김
금동 불상 시 사용되는 밀랍 주조법
1. 통주식 : 내형을 둔다. 밀랍으로 불상 형태를 세밀하게 구현하고, 그 위에 모래틀을 만들고 빈공간에 구리 합금을 집어 넣어 제작한다. 빈 공간이 없이 통짜 구조.
2. 중공식 : 내형을 두지 않는 통주식과 달리, 먼저 기둥을 세우고 살을 붙여 대강의 형태를 만든다.
밀랍을 발라서 세밀한 조각을 하고 그 위에 모래틀을 만들어 제작.
중요한 것은 구리 용액이 안틀과 바깥틀 사이에서 움직이는 것을 막기 위해서 틀고정쇠를 설치해야한다는 점이다.
반응형
'과거기록 > 문화재수리기술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칠, 소조 불상 분석과 보존 처리 방법 + 불상 구분 (0) | 2020.07.06 |
---|---|
AIC - 문화재 과학적 연구 타당성, 보존처리 적합성, 예방 보존 (0) | 2020.07.06 |
옥외 금속 문화재 (0) | 2020.07.06 |
한지의 우수성, 이유 (0) | 2020.03.18 |
갈색 부후, 연부후, 백색 부후, 훈증 방법 (0) | 2020.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