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건칠 불상 , 목심 건칠 불상(나무를 집어넣어서)
흙에 모양을 잡고 위에 삼베에 칠을 하여서 7장 정도를 붙혀서 모양을 하고 흙을 파내고 빈부분에 나무심을 짜넣어 고정시킨다음 채색 또는 도금을 하는 방식
탈환건칠법
2. 소조 불상
나무 골격에 흙으로 빚은 불상
테라코토식 - 붉에 구운 것
건조식 - 자연 건조
과학적 분석
X-ray 촬영
CT촬영
시차열 분석
편광현미경
보존 처리 공정
건칠 불상의 보존 처리 (삼베 + 도금)
세척 - 강화 - 접합 - 복원 - 고색
소조 불상의 보존 처리 (도자기, 토기와 비슷)
해체 - 세척 - 강화 - 접합 - 복원 - 고색
1. 화강암 석불
2. 금동불 (실랍법 - 통주식과 중공식)
3. 철불 - 금동불과 달리 소조 불상 처럼 만든다.
4. 목불 - 고려시대 이전 것은 남아 있지 앟음
통조각은 균열을 막을 수 없어서 쩌맞춤 기법이다.
반응형
'과거기록 > 문화재수리기술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탑 (0) | 2021.09.19 |
---|---|
2020년 제 38회 문화재 수리 기술자 불합격 (2) | 2020.10.07 |
AIC - 문화재 과학적 연구 타당성, 보존처리 적합성, 예방 보존 (0) | 2020.07.06 |
고대 주조법 (0) | 2020.07.06 |
옥외 금속 문화재 (0) | 2020.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