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문화재 과학적 연구 타당성 -
고미술품의 손상 원인에 대한 과학적 지식을 알지 못하면 효과적인 보존 처리가 이뤄질 수 없기 때문에 보존 처리가 이뤄지는 것은 불가능하다. 사용 기기나 재료가 어떤 원리와 역할을 통해 고미술품이 적용되는 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
필요한 지식의 모든 습득 후 처리를 해야함.
2. 보존 처리 적합성 - 원형 보존을 기반
보존 처리는 각종 조치를 통해서 본래 문화재가 가지고 있었던 원형을 회복시켜서 미적, 역사적 가치를 지키므로써
물건을 고치는 수리 개념과 달리 물건의 희귀성과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은 박물관의 소장품이 된 것이라면
최초 용도는 사라지고 보존 대상이 되므로 원래 형태를 되찾게 하는 것이 중요,
원형을 보존을 위한 조치를 보존 복원이라고 한다.
3. 예방 보존 - 사전적 조치, 재질 맞는 조치,
문화재 보존은 예방 보존과 보존 복원으로 나뉜다.
예방 보존 : 문화재의 원형을 그대로 유지 시키면서 자연적으로 노화 현상, 불의의 사고를 보호하기 위한 사전적 조치
수장고, 보호각과 같은 구조적인 보호시설은 물론 운반 시 포장과 운송 방법의 개선, 각각 재질에 맞는 취급 방법을 통한 물리적인 손상 방지와 빛 또는 온, 습도 등 보존 환경에 적절히 조절해서 문화재 손상을 최소화하는 일련의 조치를 실시한다.
반응형
'과거기록 > 문화재수리기술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제 38회 문화재 수리 기술자 불합격 (2) | 2020.10.07 |
---|---|
건칠, 소조 불상 분석과 보존 처리 방법 + 불상 구분 (0) | 2020.07.06 |
고대 주조법 (0) | 2020.07.06 |
옥외 금속 문화재 (0) | 2020.07.06 |
한지의 우수성, 이유 (0) | 2020.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