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으로 심리학에 기초인 정신 분석에 대해 간단히 서술해보려고 한다.
정신분석학은 전통적 정신분석과 신정신분석으로 나뉘지만
이곳에서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에 대해만 적으려고 한다.
일단 프로이트의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자면 정신과의사로
심리학이 인간은 경험의 산물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다
자신의 이론을 기준으로 삼고 과학적 검증이 이뤄지진 않았지만
개인적 임상경험을 가지고 정신분석학을 연구하게 된다.
X는 A이론으로 해결 Y는 B이론으로 해결한다는 관점으로 접근했음
1 프로이트의 이론 , 정신결정론과 무의식으로 나뉘어진다.
정신결정론은 0-5세,6세에 인간의 성향은 완성된다는 이론이고
어떤 결과에는 원인이 다 있다는 것이다. 마치 영화의 예고편 처럼 인생의 유년기가
전체 인생을 결정한다고 보는 시각이다.
무의식론은 사람의 심층 세계를 3가지로 분류하여 정리한것으로
의식 전의식 무의식 이 있다. 의식적 행동으로는 설거지하기, 공부하기 같은 것들이고
전의식은 의식과 무의식의 사이를 담당하며 예를 들면 비밀번호를 기억하는 행동과 같다.
무의식은 사고를 통해 의식의 끊긴 상태인데, 술을 과도하게 마시면 필름이 끊기지만
이는 아예의 의식이 없이 기절한 상태가 아니라 무의식이 작용하여 신체를 움직이게 되는 것의 예이다.
정신분석은 무의식 상태를 분석하는 것이다.
2. 성격구조
인간의 성격은 id, ego , superego로 나뉘어져있으며
id는 욕망덩어리, 원초아라고 불리우곤한다. 본능으로서 무의식을 담당
ego는 현실원리를 조절하며 id와 superego를 중간에서 조절해준다.
자아가 건강해야 정신적으로 건강함
superego는 초자아로써 양심과 자아이성을 담당하며 완벽을 추구하기 떄문에 너무 발달하면 잘살기 힘들어진다.
이 세가지의 균형이 깨지지 않고 좋은 밸런스를 가지고 있어야 건강하다고 지칭할 수있는 인간이 되는 것이다. 자신을 잃지않고 어떠한 상황에도 자신을 잘컨트롤 해야 건강한사람이라는 것이다.
3. 정신 결정론에서 서로 다른 성격이 형성되는 가?
정신 결정론에서 성격이 형성되는 것은 앞서 말했득이 0세에서 5,6세 까지가 크게 작용한다. 또한 인간은 본능은 성과 공격성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성격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 성적 호기심을 이용하여 발달해 나아간다.
1. 구강기(0세에서 18개월) 입을 통해 성적 쾌감을 느낀.(신뢰) 입으로 빨고 깨무는 것 보호자가 잘충족 시켜주지 못하면 타인을 신뢰할수 없게 됨
2.항문기 18개월에서 3세 항문을 통한 성적쾌감 (고집의 정도와 인색함)
배변교육시 창피를 주거나 혼을 내면 항문 보유적 성격, 혹은 항문 폭발적 성격으로 발전해서 전자는 고집스럽게 되고 후자는 잔인하고 더러움을 추구 하게 됨
3.남근기 3세 -5,6세 생식기를 통한 성적쾌감 (성역할) 부모를 보고 동일시하여 성역할을 인지하게 된다.
일렉트라 콤플렉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발생하는 시기
남자아이가 어머니를 사랑하고 아버지를 적으로 보는 시기로 아버지에게 거세불안을 느끼게 되다가 결국 포기하고 아버지와 같은 강함을 추구함으로써 올바른 동일시로써 초자아가 발달하는 과정이 일어난다.
여자아이 아버지를 사랑하기에 어머니를 적으로 간주하고 어미니를 동일시하며 여성의 성역할을 배우지만 거세불안을 가질 수없기에 초자아가 덜 발달한다. 그러나 penisenvy, 가 일어나기 때문에 남성의 음경을 부러워해 임신욕구가 증가한다.
4.잠복기 초등학생 잠시 잠복해있음
5.남근기 사춘기 이후 올바른 생식기의 관심으로 이성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
신정신 분석의 에릭슨의 이 5단계를 8단계로 분리하였음
개인적 성격은 1-3단계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인생의 초기 경험은 누구나 정도가 다르기에 옯바른 답은 존재하지 않는다. 부모가 적절히 아이를 케어하는 게 중요하다. 과학적 검증이 아닌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주관적 생각과 개인적 경험에 의한 이론이다. 호모 or 레즈비언은 성역할에 있어 동일시를 올바르게 하지 못한 것이라 보는 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