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식/제지산업158 정상수지구 침엽수재 정상수지구 소나무과에만 분포 소나무, 잎갈나무, 미송, 가문비나무, 잣나무 2021. 5. 9. 초상세포 초상 세포 1. 활엽수에서 나타남 2. 보유 수종 : 팽나무, 벽오동나무 등의 희귀 수종 3. 접선 단면에서 관찰 가능 4. 다열 방사 조직 근처의 평복 세포를 직립세포가 둘러쌓은 세포 집단 2021. 5. 9. 고해 고해란? 펄프를 물에 넣어서 기계적 작용으로 절단하여 미세화 시키는 작업 절단시키고, 팽윤시키고 하여 초지 작업에 알맞게 하는 작업입니다. 고해(beating)를 하지 않고 초지(종이를 뜨는 것)를 하면 일어나는 일? 고해한 종이와 비교해서 강도적 성질이 떨어지고 품질저하를 일으킵니다. 섬유는 수소결합해야하는 데 표면적 크면 결합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고해적 처리를 통한 기계적 분쇄를 하면 섬유의 길이와 구조가 바뀌면서 품질향상을 하기 좋은 상태가 됩니다. 고해효과 섬유의 외층의 제거 팽윤을 억제 시키는 요소를 제거에 해줘야합니다. 팽윤을 제거하기 위해선 1차벽(증해과정에서 대부분 제거되나 잔여된 것)과 2차벽 외벽의 섬유층을 고해를 통해 제거하여 2차벽 내벽이 팽윤을 억제하는 것을 방해해야 합니다. 내.. 2021. 4. 2. 제지산업과 대기오염 펄프, 제지의 대기오염 대기오염은 기계펄프보다 화학펄프에서 많이 일어납니다. 황산화물, 악취, 부유 미립자 등은 펄프화나 연소에서 일어나게 됩니다. 증해액의 경우 황 성분이 들어가는 경우 황화합물이 문제를 일으킵니다. 대표적인 황화합물은 H₂S, (CH₃)₂S₃, CH₃SH입니다. 공기 중 이산화탄소, 황산화물,질산화물 등등 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공정 개선으로 오염원 배출을 애초에 감소 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주요한 대기오염물질 발생원인 분진 크라프트 펄프화 공정에서 주로 나오며 1차 분진과 2차 분진 2종류로 분류 가능합니다. 1차적 분진은 0.01m-0.1um으로 연소공정에서 자주 나옵니다. 연소장치는 대표적으로 회수보일러, 라임킬른, 동력보일러, 스멜트 분해조가 있습니다. 그 중 1차적 분.. 2021. 4. 2. 슬러지 및 탈수 부산물 처리 슬러리 탈수 및 처리 슬러리는 탄산칼슘 같은 것들임 슬러리를 모아 처리 물은 뽑아서 다시 제지 공정으로 보내고 남은 슬러리는 모아 처리 (약 20-40%) 제지공장에서 슬러리 처리 방법 - 진공필터, 필터프레스, 원심분리, 벨트프레스 슬러리 재활용 염료화 : , 메탄 가스 얻어 에너지, 혐기성 발효 퇴비화 : , 비료나 토양 개량제, 호기성 발효 건자재화 : 고화제로 고화 시켜서 내외장 건축자재로 사용, 탈수 슬러지 사용 소각재 재활용 소성법에 의한 재활용 무기원료 : 점토류와 도석류 등을 성형하거나 소성해서 건자재로의 재활용 양생 및 고화 재활용 : SiO₂, AlO₃등이 시멘트 원료의 점토임 그래서 경량 콘크리트, 콘크리트 혼화제, 시멘트 원료, 시멘트 벽돌로 씀 소각, 매랍 및 해양투기 슬러리 소각.. 2021. 4. 1. 제지업계의 수질오염 수질오염 펄프, 제지 공장 폐수의 특징 1. 제지업계 폐수는 기계적 처리, 화학적 처리 시 목재 섬유질과 다양한 화학원료가 배출 2. 다량의 물 사용 3. BOD는 낮음, COD는 높음 4. 콜로이드 물질(거품같은 것) 부유물질 침적으로 부패 5. 용존산소를 소비 = 당분, 리그닌 분해 생성물 BOD를 높임 6. 원료고지의 증해액, 사이징제, 자력증강제 COD를 영향 펄프, 제지산업, 폐수 오염원 8가지 (조목 박피의 물), (증해부, 농축기 응축기), (정선과 제진 백수) (스크린, 세척공정 세척수), (표백 세척기의 여과수), (초지기의 백수), (섬유 전공정 누수), (탈묵공정) 공정 내부처리 1. 폐수의 재이용이 가장 중요 (사석제거, 스크린, 정화과정이 필요) 침엽수목의 껍데기 제거 효율을 높이.. 2021. 4. 1. 흰개미 방제 방법 오늘은 국내 서식 지중 흰개미 및 일본 흰개미에 대한 방제 방법 및 생태적 특징에 대해 적어보겠습니다. 1. 흰개미의 생태적 특징 1. 국내 서식 흰개미는 공식적으로 2종이 분포한다. 전국적으로 일본에서 넘어온 일본 흰개미 아종이 서식하고 있습니다(스페라투스) 군산, 서천, 익산등의 지역에서는 지중 개미 (칸모늄 개미)등이 분포합니다. 두 종 모두 일본에서 국내로 유입된 가능성 매우 높습니다. 2. 흰개미와 번식 매년 봄 3월 - 4월말 여왕흰개미와 왕개미가 번식을 위하여 영역을 넓히기 위해서 군비를 하려 서식지인 목재 내부에서 뿜어져 나옵니다. 가장 군체가 약한 시기로 병정 개미의 호위를 받으며, 여왕과 왕은 바람을 타고 날아갑니다. 이렇게 이동한 흰개미들은 숲 속의 목조 건축물에서도 나타나게 됩니다... 2021. 3. 24. 기상열화 비생물인자 느린 피해 구조적, 믈리적 피해 낮음 표층에 국한된 피해 열, 빛, 물, 오염물질, 기계적 마모 물리, 화학적 피해를 받는 것들 광산회, 광열화, 풍화 2021. 3. 18. 2. 목재 열화 방지 1. 목재 보존 처리 가공 1.방부제 2.방충제 3.방염*난연제 4. 치수안정제 5. 발수제 2. 약제 주입 처리법 1.전처리 2.상압법 3. 가압법 4. 방부처리의 영향인자 3. 방부처리재의 품질 및 공장관리 1.목재의 사용환경 구분 2. 침윤도, 흡수량 3. 처리제품 표지 방법 4. 양생 5. 공장관리 2021. 3. 18. 이전 1 ··· 5 6 7 8 9 10 11 ··· 18 다음 반응형